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영화후기] '국가부도의 날'을 본 소감
    취미 이야기/솔직한 후기 2019. 10. 25. 23:15

     

    [줄거리]

    1997 은행들의 무분별한 어음 발행과 한국에 투자를 했던 해외 기업들의 달러 회수, 원화 환율을 

    지키 위해서 나라 정부의 달러 구매액이 달러가 들어오는 금액보다  커진다. 결국엔 달러를 구매하기 

    위해 나라부채가 점점 증가한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래서 나라의 부채가 증가하고, 증가해서 해외 투자자들의

     신용을 잃어가 부채를 갚을  있는 연장 기회도 놓쳐서 나라는 점점 기회를 놓칩니다. 부채는 증가하고,

    은행의 무분별한 어음을 통한 대출액은 점점 커져갔습니다.

     

    한국에 위기가  것을 한국은행 통화정책팀장 한시현(김혜수)  사실을 보고하고, 정부는 뒤늦게 국가부도

     사태를 막기 위한 비공개 대책팀을 꾸립니다. 한편 곳곳에서 감지되는 경제위기가  것이란 징조를 포착한

     윤정학(유아인) 국가가 부도날  있는 위기에 투자하는 역베팅을 결심하고, 투자자들을 모으기 시작했습니다.

    국가 부도의 날까지 남은 시간은  일주일. 대책팀 내부에서 위기대응 방식을 두고, 재정국 차관(조우진) 

    대립하는 가운데, 시현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IMF 총재가 협상을 위해 비밀리 입국을 합니다. 그래서 IMF

    총재는 한국의 경제 담당자들과 만나면서 협상을 하고, IMF 협상을 체결하면서 이득을 노리는 미국 경제

     부차관이 한국에 비밀리에 들어와 IMF 총제와 만남을 갖습니다.

     

    시현은 IMF 협상을 하게 되면 불합리를  것이라고 계속 이야기를 했지만 한국 정부의 고위관료들은

     시현의 의견을 무시하고, IMF 협상을 타결합니다. 그래서 IMF와의 비공식 협상이 공식 협상으로 바뀌고,

    IMF 숨겨두었던 속내를 드러냅니다.

    금리는 15퍼센트 였던 것을 30퍼센트로 올리라는 IMF 협상내용. 그것은 어음으로 대출을  이들의 이자율은

     두배로 늘었고, 갚아야할 빚이 눈덩이만큼 불었습니다. 은행의 무분별한 대출로 인해 빚을 감당하지 못한 

    기업들이 늘어났고, 대기업에 속해있던 대우와 해태가 파산을 선고하고 수많은 중소기업이 무너졌습니다.

    이대로 한국의 경제는 괜찮을까요?

     

    느낀점

     당시를 직접 겪지 않은 나이지만 ‘한강가서 뛰어내려야겠다 말이 나온 시기가  시기였음을 알고 있습니다.

    은행이 가지고 있는 금액보다  많은 대출액을 했기 때문에 벌여진 상황이었습니다. 나라의 중간을 탄탄하게 

    만들었던 중소 기업의 대다수가 부도를 맞았고, 부도를 막기 위해 인원 감축과 비정규직 전환  지금의 골머리를

     섞게한 사태가 형성되던 시기였고, 중소기업의 수많은 기술이  나라인 일본이나 해외 기업에 팔렸습니다.

    자국의 기술이 팔려나간 뼈아픈 기억을 잊지 않고, 정부의 위기 상황 대처  판단 능력이 높아지고, 책임감을

     다하는 정부가 되었으면 좋겠다는 바람이 들게  영화였습니다.

    국회의원들도 해당 지역구에 뽑히기 위해 무리한 정책 실현없이 현실성 있는 정책 계획을 실행했으면 바람과

     세금을 낭비하는 목적의 조형물 설치 없어졌으면 합니다. 다시는 나라의 경제위기가 와서는   것이라고 봅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