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취 이야기/생존 요리

[생존요리] 만들기 쉬운 김치전!

솔자취 2019. 11. 19. 09:00

김치전

 

 

김치전은 만들기 쉽습니다. 김치전은  다른 재료없이 김치와 부침가루만 있으면 됩니다.

김치는  담근 김치보단 맛이 익었을  김치찌개  정도의 신김치와 부침가루와 부침가루 1:1

비율의 물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일단 먼저 부침가루와 (생수나 정수물) 1:1 비율로 먼저 섞어줍니다. 부침가루는 미지근한 물에도 

 녹기 때문에 적당한 비율만 맞으면  녹습니다. 가루가 양이 많으면 죽이 되어 두툼한 두께의 

튀김을 맛보게 되실  있습니다. 요리는 적당한 두께가 좋을  있지만 두터운 두께를 좋아하는 분들은

 부침가루 양을 넣으셔도 무방합니다.

 

이건 살짝 묽어요.. ㅠㅠ

 

하지만  양이  많게 된다면 김치전이 흐물거려서 뒤집기도 쉽지 않을 뿐더러 빠삭한 느낌의 식감이

 없을  있습니다. 그래서 비율은  맞춰주는  중요합니다.

 

부침가루의 적절한 비율을 맞춰주셨으면 냉장고에 흔하게 있는 신김치를 꺼내시면 됩니다.

갓김치로 부추전을 하면 신맛이 덜해서 맛있는 김치전을  드실  있습니다. 아니면 갓김치밖에 없으면 

마트에서 흔하게   있는 김치를 이용하셔도 됩니다. 마트의 김치도 김치전을 만들어 먹어도  만큼의

 신맛이 나서 이용하셔도 됩니다.

 

 

 

 자취를 하고 있기 때문에 집에서 김치를 받아도 떨어지면 급하게 사먹는 경우가 많아서 시중에 파는 

김치로도 김치전을 만들어 먹어봤는데, 맛있게 먹을  있었습니다. 하지만 팁을 드리자면 시중에서 

파는 김치도 ‘신김치종류가  신맛을 내고, 맛깔났습니다. 신맛을 싫어하시는 분은 적당한 김치를 

선택하셔도 되고,  맛들기 시작했을  김치를 이용하셔도 됩니다.

 

 

 

김치가 너무 크면 먹기 불편하기 때문에 다져줍니다. 너무 잘면 김치죽이 되니깐 김치도 엉성하게 

 채썰기처럼 다져줍니다. ~ 썰어주면 됩니다. 너무 정성들여서 다져버리면 김치가 죽이 되겠죠?

 

 

다진 김치와 부침가루를  물에 넣어서 섞어줍니다. 섞고, 후라이팬을 인덕션이나 

가스레인지에 올려서 예열을 먼저 합니다. 예열을 하고나서 기름을 흠뻑 둘려줍니다. 예열 정도는 죽을

 조금만 떨구면 바글바글 소리를 내면서 튀겨질  온도가 적당히 예열됐음을   있습니다.

 

 

 

섞은 반죽을 시간을 들여서 구워주면 됩니다. 아마 기름은 많이 잡아먹으니깐 식용유는 넉넉하게 있는게

 낫습니다. 그리고 튀김 거치대가 있는 사람이 없기 때문에 접시에 바로 김치전을 놓지말고, 기름 종이 

아니면 키친타올을 깔아줍니다.  깔아주면 기름이 홍건해져서 밑에 쌓이는 김치전은 눅눅하게 되어서 깔아줍니다.